반응형

HR 3

제3장 제5절 임금명세서 - [HRM 전문가 임금 요약 노트]

HRM전문가 임금 요약 노트 p. 195~ 제3장 제 5절 - 임금명세서 I. 임금명세서 교부 의무화 2021년 11월 19일, 근로기준법의 개정으로 사용자는 임금을 지급하는 때에 근로자에게 임금의 구성 항목, 계산 방법, 임금의 일부를 공제한 경우의 내역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을 적은 임금명세서를 서면으로 교부하여야 한다.(근기법 제48조) II. 임금명세서 기재사항 근로자를 틍정할 수 있는 정보 성명, 생년월일, 사원번호 등 성명만으로 근로자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성명만을 적어도 상관없지만, 동명이인 등이 존재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생년월일, 사번 등을 함께 기재하여 근로자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함. 임금지급일 매월 1회 이상 일정한 날짜를 정해서 지급해야 한다(근기법 제43조) 임금지급일..

Day 1. 공인노무사 카페, 블로그, 오픈카톡방 찾기

정보력! 취준하면서 배운 건, 정보력이 갑이라는 점이다. 정보가 있어야 나 자신을 돌이켜보며 객관적으로 무엇을 알아야 하는지, 무엇을 이미 알고 있는지 파악 가능하기 때문이고, 성공한 사람들은 무엇을 어떻게 공부해서 공인노무사를 땄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한 오픈카톡방에 들어가자마자 공지 글에 아래와 같은 글이 있었다(톡이 너무 많이 와서 지금은 나갔지만 이 글은 마음에 들어서 저장까지 해놨다). I. 노무사 수험 개관 1. 노무사가 뭔가요 자꾸 들어와서 노무사가 뭔가요 하는 새끼들 있어서 정리해준다... 나무위키(2022)에 따르면 공인노무사는 사업장의 노사 관계에 대한 사항을 분석하여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며, 채용에서 퇴직까지의 근로자의 모든 법률문제 전반에 대한 상담 및 교육업무를 담..

공인노무사 2023.12.31

인사 쪽으로 취준하려 했더니... 공인노무사 자격증을 우대한다고?

취준을 할 때 가끔 대기업 대졸 공고를 보면 "공인노무사 자격증 소지자 우대" 라고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니 신입한테서 공인노무사 자격증을 바란다고?! 라는 시각으로 봤었다. 공인노무사, 그거 어려운 거 아니야? 하고 찾아보니, 실제로 그렇다. 책을 먼저 보니 양이 어마무시하다. 이...이걸. 어떻게. 하고 내용이 궁금하여 책만 사놓고, 공인노무사가 아닌, 민간자격증인 "HRM 전문가"를 보게 되었다. 하지만 HRM 전문가 역시 근로기준법을 잘 알고 있어야 했고, 공인노무사에 비해 훨씬 양이 적고 쉽지만 짧은 기간 내 빡세게 외우지 않는 이상 따기 쉽지 않은 시험이었다. 취업을 하고 나서 다시 집어 든 건 이 공인노무사 책이었다. 기왕 인사 쪽으로 진로를 확고하게 결정했으니, 인생에서 단 한번쯤..

공인노무사 2023.12.31
반응형